PM 트랙에 참여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그동안 PM으로 공모전, 해커톤에서 서비스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했지만 주로 기획자 업무를 경험했습니다. 그래서 PM 역할을 경험하며 부족한 역량을 체계적으로 배우고자 PM 트랙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데이터 기반으로 프로덕트 전략과 방향성을 수립하는 역량을 키우고 싶습니다.
PM 업무를 경험해보셨나요?
공모전, 해커톤에서 주로 다음과 같은 업무를 경험했습니다.
- 시장조사, 경쟁사 분석,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의 페인포인트와 니즈를 도출했습니다.
- 기능명세서 작성, IA 설계, 메뉴 구조 설계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문서화했습니다.
- Figma를 활용해 와이어프레임과 UI/UX 디자인을 직접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했습니다.
PM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나의 강점과 개선하고 싶은 역량이 있나요 ?
강점: 프로토타이핑 역량
Figma와 바이브코딩을 활용해 직접 화면을 설꼐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전달하여 이해관계자를 설득할 수 있습니다.
개선점: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능력
데이터를 해석하고 의미 있는 정보를 도출하고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비즈니스 데이터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적절한 목표 지표를 설정하며, 가설 검증 과정에서 필요한 지표를 선정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고 싶습니다.
본 코스 수료 후, 어떤 PM으로 성장하고 싶나요?
데이터 기반으로 설득하는 PM으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와 고객의 정량적·정성적 데이터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는
- 설득하고: 도출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이해관계자에게 간결하고 명확하게 설명하여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본 코스 수료 후, PM이 된 5년 후 목표로 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1. 싸게 빨리 실험하며 임팩트를 극대화하는 PM이 되고 싶습니다.
- 싸게 빨리 실험: 최소한의 리소스로 빠르게 아이디어와 기능을 검증하고 학습할 수 있는
- 임팩트 극대화: 고객, 비즈니스에 대한 깊은 이해와 분석력을 기반으로 투입하는 리소스 대비 가장 큰 가치(고객 만족 +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2. AI 기술 기반의 {도메인} 전문 PM이 되고 싶습니다.
- AI 제품 기획: 기획 관점에서 AI로 해결할 문제를 뾰족하게 정의하고 모델을 설계하고 ML 엔지니어와 협업할 수 있는
- AI 도구 활용: 다양한 AI 도구의 장단점을 알고 적재적소에 활용하여 업무 및 프로젝트 생산성을 높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