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비스기획 프로세스
1. 리서치/분석 | - 거시/미시 환경 조사 - 데이터 분석 등 |
2. 요구사항 정의 | - PRD 작성 |
3. 기획 문서 작성 | - 서비스 정책, 프로세스, 흐름도 - IA,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 WBS |
4. 유관부서 리뷰 | |
5. 디자인/개발 | |
6. 취약점 점검 | |
7. QA | - TestCase 작성 |
8. 배포/오픈 | - 서비스 모니터링 - 서비스 지표 관리 |
2. 목표 설정
1) OKR
Objective & Key Results
목표 & 핵심 결과
; 회사, 팀 등의 조직 및 구성원 개인들의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
(1) Objective
목적지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가
✅ 실현 가능하면서도 도전적인 목표로 설정
(2) Key Result
이정표
목표에 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 각 목표마다 핵심 결과 3~5개 이하,
✅ 측정 가능하며 되도록 정량적인 형태로 설정
(3) 조건
① Key Result가 모두 달성 → Objective도 달성
but, 달성X → Key Result 재설정
② CFR이 함께 이뤄져야 함
Conversation(대화),
Feedback(피드백),
Recognition(인정)
2)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 성과 지표
; 조직이나 프로젝트의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량적 핵심 성과 지표
(1) OKR vs. KPI
OKR | KPI |
목표: 업계에서 가장 편리한 서비스 구축 핵심 결과: - 사용자 1,000명 인터뷰 후 서비스 개선하기 - 사용자 이탈률 20% 낮추기 |
목표: 월 매출 1억 원 달성 KPI: - 신규 가입자 10,000명/일 - 정기 구독: 7,000건/월 |
3. 제품로드맵 작성
1) 제품로드맵
; 시간 경과에 따라서 제품 및 서비스 또는 팀의 비전, 방향, 우선순위 등이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나타내는 문서
2) 작성법
(1) 제품로드맵 작성 목표, 이유, 대상 설정
(2) 작성 목표, 이유, 대상에게 맞는 정보로 구성
(3) 제품 전략, 목표, 방향성과 명확하게 연결
(4) 사용자 피드백 및 경쟁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3) 템플릿 & 협업 플랫폼
Miro | 혁신을 위한 시각적 작업 공간
Miro는 팀이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제품을 디자인하고,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혁신을 위한 시각적 작업 공간입니다. 전 세계 6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와 함께하세요.
miro.com
Boardmix - 온라인 화이트보드 협업툴
팀의 창의성 향상 시간, 공간 및 장비의 제한 없이 내 생각 100% 표현할 수 있습니다. 대화형 미팅 데모와 커뮤니케이션을 동시에 수행하고 팀 협업을 원활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대화형 미팅 데
boardmix.com
(3) Creately | 스마트 비주얼 캔버스 업무관리 플랫폼
Creately - 스마트 비주얼 캔버스 위에서 아이디어화, 계획 및 프로젝트 추진을 한번에
비주얼 워크 스페이스 소프트웨어로 협업하여 프로젝트 브레인스토밍, 계획, 실행 및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협업, 무제한 캔버스 및 강력한 다이어그램 작성 기능.
creately.com
4. 요구사항 정리
1) PRD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 목적, 기능 등 제품에 반영되길 원하는 요구사항을 담은 가이드 문서
모든 관련 이해관계자의 피드백과 의견을 통합하여
기획한 의도 및 주요 기능을 그들에게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작성
2) 구성 요소
*작성 목적에 맞게 다음 요소들을 포함하여 작성
(1) 문서 개요
(2) 비즈니스 목표 혹은 지표
(3) 제품 개요 - 문제 정의, 목적 및 배경
(4) 주요 사용자(고객) - 니즈, 문제점, 가치
(5) 사용자 스토리 / 고객 여정
(6) 기회 및 임팩트 - 기회, 가설, 예측
(7) 제품 정의 및 요구사항
(8) 마일스톤 혹은 WBS
(9) 개발 원칙
(10) 프로젝트 일정 및 배포 계획
(11) 기타 참고 문서
(12) FAQ
...
5. 프로젝트 일정관리
1)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 프로젝트 전체 업무를 더 작고 관리하기 쉬운 작은 요소로 세분화하여 업무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기초 문서
2) WBS 구성요소
(1) 구분: 큰 단위 업무 기재
(2) Task: 가장 작은 단위로 쪼개어진 세부 업무 명칭 기재
(3) 담당자(담당 부서): Task를 수행하게 될 담당자 기재
(4) 기간: Task의 시작과 종료일
(5) 일정 차트(간트 차트): 전체 기간 대비 각 Task의 소요 기간을 색으로 표기
(6) 비고: Task 수행 시 예외사항이나 제약사항 등을 기재
*PM이 진행하되 각 팀 업무 담당자에게 WBS 작성 요청 후 취합하여 작성
6. 제품 설계
1) IA
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 구조도
; 서비스 구축 시 기본 설계 구조도이며, 일종의 사이트맵 형식을 구체화한 문서
2) IA 형식
(1) 계층(Hierarchy)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이동하는 형식
(2) 탭 (Taps)
계층 패턴의 일반적인 구현 방식

(3) 허브 앤 스포크 (Hub & Spoke)
중앙 허브를 통해 이동하는 방식

(4) 라이너 (Linear)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전개하는 방식

(5) 네스트 돌 (Nested Doll)
라이너 패턴의 변형
깊은 레벨로 갈 때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방식

(6) 벤토 박스 (Bento Box)
여러 항목을 한 번에 표시하는 방식

3) 와이어프레임
Wireframe
; 앱/웹 서비스를 만들 때 동선,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화면 설계도
디자인 요소X, 선(Wire)을 이용해 윤곽(Frame)을 잡는 것
4) 와이어프레임 구성 요소
(1) 화면에 어떤 정보가 나타나야 하는지?
(2) 어떤 레이아웃, 모습을 보여줘야 하는지?
(3) 세부 콘텐츠가 있다면,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4) 다음 화면으로는 어떻게 이어지는지?
(5) 공통 영역(내비게이션, 푸터 등)은 적절히 기능을 하는가?
5) 스토리보드
Storyboard
; 서비스기획 문서의 최종 산출물인 상세기획서
스토리보드 = 상세기획서 ≒ 화면설계서
6) 스토리보드 구성 요소
1. 표지 | - 제목, 버전, 최종 작성일, 작성자 |
2. 서비스 개요 | - 목차 - 변경 이력 - 목표, 주요 기능 |
3. 서비스 구성 | - IA (정보 구조도) - 서비스 정책 - 주요 서비스 프로세스, 정보 흐름도 |
4. 상세 기획 | - 화면(UI) 시나리오 - 화면별 와이어프레임 - 기능 상세 설명 - 예외 사항, 오류 케이스 등 |
7. 테스트
1) Cursory Test
; 개발자가 테스트 주체가 되어 테스트 케이스 없이 주요한 단위 모듈이나 시스템 모듈을 즉흥적으로 테스트하는 기법
2) Sanity Test
; 개발팀 혹은 개발자가 테스트 주체가 되어 테스트 케이스 없이 주요한 단위 모듈이나 시스템 모듈을 테스트하는 기법
새로 테스트 항목에 추가된 새로운 기능 / 수정된 버그에 초점
3) Smoke Test
; 개발팀이 제작한 주요 단위 모듈이나 시스템 모듈을 제3자 테스트팀 또는 개발팀 내의 테스트팀이 주체가 되어 테스트 케이스 없이 시행하는 기법
새로운 기능 추가가 프로그램의 주요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사
4) QA
Quality Assurance
; 기능 단위 테스트 후 서비스 출시 전 테스트 및 검수하는 단계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여 단계별로 테스트를 진행하고 이상이 없는지 결과를 확인한다.
QA 팀에서 진행 or PM/기획자가 진행
(1) 진행 순서
① 기획서 분석
② 테스트 범위 설정 (기기, 단말, 버전 등)
③ 테스트 케이스 검토 및 작성
④ 테스트 진행 및 버그 리포트
⑤ 최종 테스트 진행
⑥ 결과 리포트 작성
(2) 확인 사항
① QA 전 스스로 기획한 기능이 잘 개발되었는지 사전 테스트 진행
② QA 팀에 요청할 때는 충분한 일정을 감안하여 자세한 검토 요청
8. 서비스 오픈
1) 확인 사항
(1) 오픈 전
✅ 최종 QA 및 테스트 결과 확인
✅ 서버, 앱 배포 일정, 배포 시나리오 확인
✅ 마케팅/프로모션 준비 확인
✅ 유관부서 업무 매뉴얼 작성 및 서비스 오픈 공유
(2) 오픈 당일
✅ 실제 운영 환경에서 테스트 진행
✅ 모니터링
(3) 오픈 이후
✅ CS 대응 및 개선 포인트 찾기
✅ 지속적인 서비스 로그 모니터링
✅ 일별/주별/월별 등 지표 분석
9. 회고
;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목표 달성 여부, 문제점, 개선점 등을 이야기해보는 시간
1) KPT
Keep, Problem, Try
위 세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여 회고를 진행하는 방법
Keep
|
Problem
|
-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
- 유지했으면 하는 부분 |
-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
- 개선이 필요한 부분 |
Try
|
|
- Problem에 대한 해결책
- 다음 회고 때 판별 가능한 것 - 당장 실행 가능한 것 |
2) Timeline
프로젝트 진행 기간 동안 이슈 사항 또는 사건들을 타임라인으로 표시하여 회고하는 방법
3) 5F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주요 사건들을 시간축으로 정렬해서 5가지 F로 나누어 돌아보는 방법
(1) Fact(사실)
(2) Feeling(느낌)
(3) Finding(교훈)
(4) Future action(향후 행동)
(5) Feedback(피드백)
4) AAR
After Action Review
계획을 실행한 후 5단계 과정을 거쳐 성과를 피드백하는 방법
(1) Get to: 얻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
(2) Get: 실제로 얻은 것은 무엇인가?
(3) Gap: 차이와 원인은 무엇인가?
(4) Continue: 지속/강화할 것은 무엇인가?
(5) Avoid: 하지 말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
5) YWT
(1) 한 일: 일을 통해 명확히 알게 되었거나 이해한 부분
(2) 배운 것들: 배운 점과 시사점
(3) 앞으로 할 일: 배운 것을 어디에 어떻게 적용할지
6) 4L
(1) Liked: 좋았던 것
(2) Learned: 배운 것
(3) Lacked: 부족했던 것
(4) Longed for: 바라는 것
7) TIL
Today I learned
(1) 잘한 점
(2) 개선 점
(3) 배운 점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서비스기획 PM 완주반> 강의 수강 후 작성한 학습일지입니다.
'🗂️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기획] STP 전략, SWOT 분석, 차별화 전략 (0) | 2024.02.20 |
---|---|
[서비스 기획] 사용자 페인 포인트(Pain Point) 발견 (0) | 2024.02.19 |
[서비스 기획] 데스크리서치 사이트 모음, 네이버 구글 검색 방법, 상세 검색 연산자 (0) | 2024.01.27 |